파일을 open 했는데 close를 안하면?
stdin(0), stdout(2), stderr(3) 이라는 정해진 공식과 함께 리다이렉션과 파이프의 개념만으로도 흥분하던 대학교 시절에 내가 알던 파일 디스크립터의 정의는 태스크가 파일을 열면 얻게 되는 고유 id값 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파일디스크립터는 항상 open 을 해주면 close 를 해줘야 한다고 배웠다. 그런데 막상 단순한 텍스트 파일을 open 한 뒤 프로세스 종료 전 close를 명시적으로 하지 않아도 이로 인한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전에는 단순하게 프로세스 종료 시에 파일 디스크립터도 함께 정리해주겠거니 하고 넘어갔던 내용이지만 본 글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strace 로 삽질 포인트 찾기
업무와는 관련이 없지만 간혹 코드에 open만 있는데도 불구하고 파일 디스크립터에 대한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불편한 코드들을 보면서 평소에 궁금했던 부분이라 잠깐 이 부분을 찾아보기로 했다. 먼저 아래와 같이 간단한 코드를 하나 작성한 뒤 컴파일해준다.
1// cat sysclose_test.c
2#include <unistd.h>
3#include <stdlib.h>
4#include <syscall.h>
5#include <fcntl.h>
6
7int main(void)
8{
9 int fd;
10
11 fd = open("test", O_RDWR);
12
13 exit(1);
14}
마지막 라인의 exit(1)
부분은 추가하지 않아도 인자만 다른 채로 동일한 시스템 콜이 호출된다. 이제 strace 를 통해 시스템콜이 어떻게 호출되는지 살펴보자.
1$ strace ./sysclose_test
2execve("./sysclose_test", ["./sysclose_test"], 0x7fff0fb6ea80 /* 40 vars */) = 0
3mmap(0x7fcdffece000, 360448, PROT_READ, MAP_PRIVATE|MAP_FIXED|MAP_DENYWRITE, 3, 0x1bc000) = 0x7fcdffece000
4mmap(0x7fcdfff27000, 24576, PROT_READ|PROT_WRITE, MAP_PRIVATE|MAP_FIXED|MAP_DENYWRITE, 3, 0x214000) = 0x7fcdfff27000
5mmap(0x7fcdfff2d000, 52816, PROT_READ|PROT_WRITE, MAP_PRIVATE|MAP_FIXED|MAP_ANONYMOUS, -1, 0) = 0x7fcdfff2d000
6close(3) = 0
7mmap(NULL, 8192, PROT_READ|PROT_WRITE, MAP_PRIVATE|MAP_ANONYMOUS, -1, 0) = 0x7fcdffd10000
8arch_prctl(ARCH_SET_FS, 0x7fcdfff3b5c0) = 0
9set_tid_address(0x7fcdfff3b890) = 375046
10set_robust_list(0x7fcdfff3b8a0, 24) = 0
11mprotect(0x7fcdfff27000, 16384, PROT_READ) = 0
12mprotect(0x55c5fce58000, 4096, PROT_READ) = 0
13mprotect(0x7fcdfff81000, 8192, PROT_READ) = 0
14prlimit64(0, RLIMIT_STACK, NULL, {rlim_cur=8192*1024, rlim_max=RLIM64_INFINITY}) = 0
15munmap(0x7fcdfff3c000, 71131) = 0
16openat(AT_FDCWD, "test", O_RDWR) = 3
17exit_group(0) = ?
18+++ exited with 0 +++
마지막으로 출력된 라인으로부터 exit_group(0)
시스템 콜이 호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삽질 포인트를 찾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삽질할 준비는 되었다.
do_exit -> exit_files
exit_group(0)
을 시작으로 함수콜을 따라가다보면 다음과 같은 호출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
-> exit_group()
+-> do_exit()
+-> exit_files()
+-> put_files_struct()
+-> close_files()
핵심은 종료될 태스크의 파일 리스트를 얻은 뒤 NULL로 바꾸고, put_files_struct 에 리스트를 인자로 넘기면서 파일들을 close 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통해서 왜 굳이 명시적으로 close 를 하지 않아도 태스크 종료 시에 파일 디스크립터들이 정리되는지 알 수 있다.
1void exit_files(struct task_struct *tsk)
2{
3 struct files_struct * files = tsk->files;
4
5 if (files) {
6 io_uring_files_cancel(files);
7 task_lock(tsk);
8 tsk->files = NULL;
9 task_unlock(tsk);
10 put_files_struct(files);
11 }
12}
13
14void put_files_struct(struct files_struct *files)
15{
16 if (atomic_dec_and_test(&files->count)) {
17 struct fdtable *fdt = close_files(files);
18
19 /* free the arrays if they are not embedded */
20 if (fdt != &files->fdtab)
21 __free_fdtable(fdt);
22 kmem_cache_free(files_cachep, files);
23 }
24}
25
26static struct fdtable *close_files(struct files_struct * files)
27{
28 /*
29 * It is safe to dereference the fd table without RCU or
30 * ->file_lock because this is the last reference to the
31 * files structure.
32 */
33 struct fdtable *fdt = rcu_dereference_raw(files->fdt);
34 unsigned int i, j = 0;
35
36 for (;;) {
37 unsigned long set;
38 i = j * BITS_PER_LONG;
39 if (i >= fdt->max_fds)
40 break;
41 set = fdt->open_fds[j++];
42 while (set) {
43 if (set & 1) {
44 struct file * file = xchg(&fdt->fd[i], NULL);
45 if (file) {
46 filp_close(file, files);
47 cond_resched();
48 }
49 }
50 i++;
51 set >>= 1;
52 }
53 }
54
55 return fdt;
56}
마치며
파일이 닫히는 것까지 커널 코드를 읽고 분석하는데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단계가 단순하여 금방 이해할 수 있었다. 한가지 중요한 것은, 본 글에서 분석한 내용이 코드 상에서 close()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점이다. 리눅스에서는 디바이스 노드로써 디바이스를 컨트롤한다. 이 경우 open()과 close()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디바이스 초기화 시점을 코드로써 기술할 수 없게 되므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